예시01

지방 소도시 출신의 자칭 시골쥐로 서울에 상경한 지 어느덧 10년이 흘렀다. 나는 이 거대한 도시의 빠른 속도와 치열한 경쟁 속에서 나만의 삶을 꾸려왔다.

분주한 일상에서도 서울에서만 누릴 수 있는 특권을 마음껏 즐기며 살았다. 독립영화를 보고 싶을 때는 광화문 씨네큐브로 향했고, 세련된 편집숍을 찾고 싶을 때는 압구정 로데오 골목을 거닐었다. 좋아하는 음악 공연과 예술 전시회를 찾아다녔고, 낭만이 가득한 도심 속 작은 카페와 식당에서 여유를 만끽하기도 했다.

서울에 대한 동경은 실제 서울 사람이 되어 언제든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다는 만족감으로 이어졌고, 그것은 내가 서울로 상경한 이유이자 자부심 같은 것이었다.

대한민국의 중심지 서울. 정치, 경제, 문화가 뒤섞인 이곳에서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려는 움직임은 70~80년대 산업화 시절부터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이쯤 되면 짐작할 수 있다. 나는 지방 소도시에서 서울로 올라와, 대한민국의 정석적인 경로를 따라 살아온 또 한 명의 서울에 정착한 지방 사람이 되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서울에서 벗어나 지방으로 향하는 움직임이 눈에 띄기 시작했다. ‘탈서울’이라는 단어가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고, 서울의 인구는 천천히 줄어드는 추세라고 한다. 탈서울…? 요즘 서울 사람들은 귀촌을 꿈꾼다고? 도대체 왜? 취재를 통해 만난 이들의 이야기는 이 질문에 몇 가지 답을 던져주었다.

첫 번째로 꼽을 수 있는 이유는 취업난이다. 나 또한 지방 대학을 졸업했기에, 학창 시절 ‘인서울’에 성공한 친구들이 부러웠던 적이 많았다. 이미 서울에서 대학 생활을 시작한 친구들은 그만큼의 시간을 아낀 셈이었으니까.

하지만 서울의 대학에 들어갔다고 해서 서울에 정착한 것으로 보기엔 어렵다. 대학 졸업 이후 생계가 해결되어야만 서울에서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문턱에서 좌절하고 다시 고향으로 돌아가는 친구들을 여럿 보기도 했다.

이번 취재에서 만난 김동환, 김태균 역시 광주광역시에서 대학 진학을 위해 서울로 상경했지만, 졸업 후 서울의 취업난과 높은 물가에 부딪쳐 결국 귀향을 택한 사례다.

“가장 컸던 건 역시 높은 물가와 부족한 생활비였던 것 같아요. 월세, 밥값, 학원비, 책값 같은 기본적인 생활비 부담이 컸죠. 부모님께 손을 벌리는 것도 쉽지 않아,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하며 겨우 생활을 유지했던 기억이 있어요.”

지방 출신으로서 나 역시 극히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였다. 서울의 삶은 많은 기회와 가능성을 제공하지만, 그만큼의 비용 부담도 따른다. 생업에 뛰어드는 시기가 늦어질수록 서울에서 버티는 일은 점점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김동환과 김태균은 각자 공무원 준비와 사업 준비를 이어가던 중, 결국 고향에서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기로 결심했다.

서울 생활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간다는 것은 결코 쉬운 선택이 아니다. 고향 사람들의 “서울에서 잘 안됐나?” 하는 시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동환과 김태균은 고향에서 새로운 시작을 하며, 남들의 시선보다는 자신들의 비전에 더욱 집중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환경으로 고향을 선택한 모습이었다.

“어렸을 때부터 뛰놀던 곳이라 이곳의 사람들 성향이나 시장 상황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거든요. 또 부모님과 친구들에게 도움이나 조언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라는 점도 큰 장점이었고요.”

고향으로 돌아가는 가장 큰 이점은 새로운 삶의 터전을 구축하는 데 드는 부담을 덜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이들은 수도권에서는 이미 성황을 이루고 있지만 고향에는 없었던, 캠핑과 피크닉을 접목한 ‘캠크닉’이라는 독특한 사업 아이디어를 구상했다. 귀향 후 이를 실현하며 ‘메타포레스트’라는 이름의 유원지를 창업했다. 관광도시로 주목받는 고향의 특색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낸 것이다.

서울의 취업난과 생활고로 인해 귀향을 택하는 주변인들을 보며, 나 역시 이들의 선택이 합리적으로 느껴졌다. 고향의 강점을 활용해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는 이들의 이야기는, 지금 귀촌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도 좋은 힌트가 될 수 있다.

한 개의 응답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